🌈CS

서버 사이드 렌더링(SSR)과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(CSR)
렌더링이란? HTML, CSS, 자바스크립트 등 개발자가 작성한 문서의 내용들이 브라우저에서 출력되는 과정 (간단하게,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화면의 내용들이 뿌려지는 것. ) Server Side Rendering(SSR)은 무엇인가?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질 페이지를 모두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페이지를 보여주는 방식이다.(JSP/Servlet 방식) 각 HTML 페이지는 이미 구성이 완료되어있는 상태 페이지이며 이동시 각각의 이미 완성된 페이지를 불러옴 장점 초기 페이지 로딩 속도가 CSR보다 빠름 JS를 이용한 렌더링이 아니기 때문에 검색엔진최적화(SEO)에 효과적이다.(이미 다 만들어진 페이지를 검색엔진 크롤러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받기 때문이다.) 서버에서 페이지 로직 및..
[Http 통신] Header에 Content-type과 Accept의 차이
2021.10.10 서론 MicroSoft Graph Api를 호출하는 과정에서 Header에 "Accept" "application/json""Authrization" "토큰값"형태로 바디에 Json 데이터를 담아 요청을 보냈다. data값은 원하는 포맷으로 오지 않았고 여기서 의문점이 들었다 Accept에 분명 json타입으로 받겠다고 요청했는데 왜? 데이터가 누락되어서 오는거지? 혹은 왜 400error BadRequest를 보내는거지? 본론 Content_Type이랑 Accept의 차이를 알아보기로 했다.Content_Type이란?Client가 Http통신으로 요청을 보낼 때 요청과 응답에 담기는 데이터의 형식을 알려주는 헤더입니다.(MIME타입) HTTP 표준 스펙을 따르는 브라우저와 웹서버는 ..